주요기록

전체 320 개
기자회견 준비자료. 1) IMF가 1998년 한국의 성장률을 낮게 전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2) 금융 및 기업구조조정으로 인한 고실업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3) 고금리가 은행과 기업부문을 침체에 빠트리고 있는 것 아닌가 4) 왜 긴축재정이 필요한가 5) 한국의…
ILO 부총재 Katherine Hagen과의 미팅을 가졌으나 충분히 설득되지 않았음. ILO의 방콕 스태프를 한국으로 보내 IMF 파견단과 만나보게 할 수 있다는 의향을 들었음. p2 : Meeting with Katherine Hagen, ILO Deputy…
강경식 경제부총리의 97년 8월 25일 외채 정부보증 관련 발언내용 비공식 영역본
한아름 종금사 등 종금사 동향
1997년 외환위기후 12년, 한국경제는 당시 국가부도 위기를 분수령으로 이전의 ‘국가주도형 닫힌 경제’에서 ‘개방된 시장경제 체제’로 대전환을 이뤘다. 외환위기 당시 IMF 합의에 따라 구체화된 제도들은 과연 지난 12년 동안 우리 사회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어떻게…
12월 2일 IMF 이사회에서 제기된 주요 질문사항 및 기타 쟁점 사항
Korea-Bank/Fund Collaboration. Balino가 초안을 작성하고 Bottelier가 수정한 문서로, 한국에서 세계은행과 IMF이 맡게 되는 역할을 규정하고 있음. 금융부문 구조조정, 위기에 빠진 기관의 재생, 자본부족 기관의 자본확충, 은행감독과…
금리 관련 시기별 합의 내용
97년말 현재 우리나라의 총 대외지불부담 현황 (수정전)
IMF 국장 발언 내용
한국의 IMF 구제금융 요청 의향서
주요국 및 세계은행 면담관련 요지 
IMF 대책반 설치 운영 보도참고자료
임창열 부총리에게 보내는 질문으로, 한국은행의 지원에 대한 대한 것이다. - 오늘(12월 30)은 만기연장율도 개선되고 새로운 신용공급선도 생기는 등의 성과가 있었는데, 어제 상황(12월 29일)은 우려스럽다. 사전에 예상치 못한 만기와 조기상환 요청이 있었다.…
한국 구제금융 협상의 경과를 알리는 내용의 수기 서신
한국 구제금융 1차 협상에서 합의한 선조치 내용 보고
한국의 단기외채가 차환되지 않을 경우 한국정부가 취해야 할 긴급조치 계획.
노동조합 간부들과의 비공식 면담자료. 1) 사회적 대화가 중요 2) 모두 똑같이 고통분담해야 3) 노동시장유연화는 불가피. 그렇지 않으면 구조적 실업의 고착화. 4) 이러한 이슈들에서 협력하면 새 정부와 관계를 잘 만들 수 있다.
은행부문 IMF 지적사항 및 대응
This paper examines issues in sequencing and pacing capital account liberalization and draws lessons from experience in four countries (Chile,…
The following correction has been made in SM/96/262 (10/22/96): Pane 2. line 2: for "Korea joined the BIS in September 1996." read "Korea was invited…
당일 컨퍼런스의 토의 내용. 몇몇 채권자 은행들이 한국의 은행들로부터 만기연장 요청이 오지 않았다는 보고에 대한 것. 한국은행이 책임을 다 하고 있지 않은 것 아니냐는 의심을 가지고 있음.
정부협의단 재구성 이유 및 명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