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기록

전체 320 개
IMF 이사회 한국협상관련 비공식회의
This paper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to the staff report on the 1996 Article IV consultation discussions with Korea, which was circulated as…
경제대책추진실무위원회 제2차회의 자료 최근 금융시장동향, 제일·서울은행에 대한 국유재산 현물출자 등
일본정부에 대한 100억 달러의 엔-원 스왑 제안. 가용한 준비금이 80억 달러 이하로 떨어졌을 경우를 대비한 두번째 방어선을 위한 것이다. 첨부된 문서는 김대중이 Wanda, Neiss에게 검토를 부탁한 것으로, 임창열 부총리가 작성자로 되어있음.
IMF 대책반 설치 운영 보도참고자료
한국 IMF 구제금융 패키지 요청 금액
리만브라더스의 IMF 한국 구제금융에 대한 전망 및 분석
IMF 실사단 협의내용 (종금사관련)
IMF 구제금융 합의서 원본
노동, 재벌규제, 기업지배구조 등 관련 한국 정부 입장
1997년 11월 28일 협상 일정
부외금융의 대부분은 보증, 특히 신용장이며 비교적 위험도가 낮다. 파생상품은 규모가 작지만, 특수은행/투자은행 등에 대한 위험보고 시스템 개선과 감독체계 일원화의 필요성을 지적. 소형은행과 증권사는 이번에 다루지 못했음을 지적.
G12 재무부 장관들에게 보낼 편지 초안. 한국에 대한 추가지원을 보완해줄 것을 요청.
4번 조항 협상결과 브리핑 보고서.
1997년 외환위기후 12년, 한국경제는 당시 국가부도 위기를 분수령으로 이전의 ‘국가주도형 닫힌 경제’에서 ‘개방된 시장경제 체제’로 대전환을 이뤘다. 외환위기 당시 IMF 합의에 따라 구체화된 제도들은 과연 지난 12년 동안 우리 사회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어떻게…
김대중의 당선 연설문의 영문 번역본. 김대중의 당선으로 인한 영향을 평가한 문서가 같이 첨부되어 있음. 1) 금융시장 : 당선인이 프로그램에 헌신하지 않을 것이라는 걱정으로 시장의 불안감이 퍼지고 있음. 원화가치 하락, 주가 하락, 채권금리 상승. 2) 외환 현금흐름…
This paper tests for evidence of contagion between the financial markets of Thailand, Malaysia, Indonesia, Korea, and the Philippines. Cross-country…
대통령, 세명의 대통령후보, 임창열 부총리, 한국은행 총재를 만나고 싶어하는 총재의 의지를 전달.
IMF 대기성차관협정에 부응하여 한국정부가 마련한 수단을 소개. 1) 단기자금시장 금리상승을 허용 2) 33조원의 추가세수 확보 3) 주식시장 외국인투자 자유화 4) 파산 투자은행의 정리과 예금보호수단 강화 5) 외국인 투자자에 의한 국내 금융기관의 인수합병 허용
강경식 부총리가 사임하고 후임으로 온 임창렬 부총리의 임명과 직후 발표한 성명을 첨부하였음(2페이지)
Staff Report 초안에 대한 Fischer의 코멘트. IMF는 재정정책의 필요성을 지지하고 있으나, 한국정부가 독단적으로 긴축정책을 펴고 있는 것 같으니, 이는 IMF의 견해와 다름을 알리고 보고서가 나오기 전에 입장을 바꾸도록 설득하라는 내용. 보고서 초안의…
외채보증 관련 한국정부 입장 질의
IMF와 550억불 자금 지원 협상을 종료했다는 보고
Neiss에게 보내는 서신으로, 한국은행의 외화지원과 거래정지 상태인 투자은행 문제가 이번 파견단이 집중할 두가지 이슈임을 보여줌.
IMF 관련해 거시정책, 금융정책 등에서 참고해야 할 내용 정리.